본문으로 바로가기
728x90
728x90

짐운반 로봇 I의 디자인을 보완하고 기구설계 및 각종 부품을 재배치하여 기구부를 재설계 하였습니다. 하드웨어는 회로 보완과 안정화를 위해 재설계하여 제작하였습니다. Tomorrow City에서 길안내 서비스를 위한 GUI를 다시 디자인하여 프로그래밍 했습니다. 로봇 제어 프로그램도 짐운반 로봇 I의 기본 기능을 이용하여 성능개선, 서비스 추가, 안정화를 위해 프로그램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건물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봇 회사들이 현장에서 작업해야 했고 숙소도 멀리 있어 거의 밤색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너무나 고생스러운 작업 환경이었지만 로봇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팀원들과 열정적으로 작업을 했었습니다. 건물이 완성되자 별도의 작업공간이 주어져 그나마 ㄱ독립된 공간에서 모두 모여서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세계도시축제가 열리고 모든 롭소 회사들이 서비스를 수행했습니다. 초반에는 자주 에러도 발생하고 무엇보다 일반인에게 공개된 장소에서 서비스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 종일 모니터링을 해야 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로봇을 교체하고 바로 프로그램 디버그를 시작하고 다른 로봇으로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고 밤에는 모두 모여 전체 프로그램 수정 작업을 진행하여 성능을 안정화 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계속 이어갔습니다.

마지막에는 어느정도 안정된 서비스가 가능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2009년 세계도시축전에 관한 간략한 소개 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2009_%EC%9D%B8%EC%B2%9C%EC%84%B8%EA%B3%84%EB%8F%84%EC%8B%9C%EC%B6%95%EC%A0%84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二千九 仁川世界都市祝典, Global Fair & Festival 2009 Incheon, Korea)은 2009년 8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소재 송도컨벤

ko.wikipedia.org

 

1.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업그레이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업그레이드

1. 디자인 2. 구조 설계 변경 3. 기구설계 변경

makingrobot.tistory.com

 

 

2.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기구부 업그레이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기구부 업그레이드

1. 포터부분 적층식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고하중에 강인하고 부품배치의 효율성을 증대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보관하는 짐이 이동시 로봇 플랫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

makingrobot.tistory.com

 

 

3.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1. 하드웨어 개발 항목 2. Motor Control 보드 3. Sensor 보드 4. Touch Control 보드 5. Power 보드 6. DID Power 보드 7. Charger Control 보드 8. 위치인식 센서 : 구매품 9. 바코드 리더기리더기 상단에 있는 메인 보드

makingrobot.tistory.com

 

 

4.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안내용 GUI 개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안내용 GUI 개발

1. 메인 화면관리자모드: 로봇 운영자가 설정 값 변경 - 비상버튼 : 비상정지 기능 2. 맵 선택맵의 버튼을 이용하여 길안내를 원하는 위치 선택 3. 포터공간 이용안내포터공간 사용방법 설명 4. 길

makingrobot.tistory.com

 

 

5.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시스템 소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시스템 소개

1. 하드웨어 블럭도 2. 로보 하드웨어 스펙 3. 주요 기능 4. 로봇 사양 5. 로봇 주요 기능 6. 서비스 안내도

makingrobot.tistory.com

 

 

6.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제어 프로그램 개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제어 프로그램 개발

Visual Studio 6.0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1. Control S/W 개발 2. S/W 개발 항목 3. 서비스 개발 4. Robot Client 응용 프로그램 5. Motor 파라미터 설정 6. 스타게이저 설정 7. 스타게이저 맵

makingrobot.tistory.com

 

 

7.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제작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제작

1. 길안내 및 포터 로봇 디자인 최종안 2. 높이, 폭, 길이 3. 길안내 및 포터 로봇 디자인 및 주요기능 4. 제작 완료 5. Tomorrow City에서

makingrobot.tistory.com

 

 

8.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Tomorrow City에서 작업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Tomorrow City에서 작업

1. 건설중인 Tomorrow City 건물 내부 및 외부 2. 로봇 제작 후 Tomorrow City로 이동건물이 아직 완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봇 회사들이 서비스 일정 때문에 미리 가서 작업하고 있음

makingrobot.tistory.com

 

 

9.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길안내 서비스 테스트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로봇 길안내 서비스 테스트

1. 길안내 및 포터 로봇 자동출근 및 서비스 수행 2. DID 패널을 이용한 광고/홍보 3. 충돌회피 4. 자동충전 복귀 5. 지하 1층 서비스 구역에서 시나리오 테스트

makingrobot.tistory.com

 

 

10.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Tomorrow City 소개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Tomorrow City 소개

1. 인천 송도에 위치한 Tomorrow City 전경 2. Tomorrow City 소개 영상국내 5개 로봇개발 업체가 참여하여 인천 송도에 SK 건설이 Tomorrow City를 건설하고 그 건물의 지하 1층에 대략 200m 둘레에 음식점을 임

makingrobot.tistory.com

 

 

11.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2D 바코드 제작 및 설치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2D 바코드 제작 및 설치

1. 2-D 바코드를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바코드 시스템은 로봇이 바닥에 인쇄되어 있는 2-D 바코드를 이동하면서 좌표의 정보를 Camera에서 읽어 들인 Code를 Camera Board에서 Code의 정보 즉 X, Y, 각도

makingrobot.tistory.com

 

 

12.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골든벨 500회 특집 촬영

 

짐운반 로봇(Porter Robot) II - 골든벨 500회 특집 촬영

KBS 골든벨 500회 특집으로 Tomrrow City에서 로봇과 함께 중앙 광장에서 촬영했습니다. 로봇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촬영을 도왔습니다. 1. 아래는 포터로봇 위주로 촬영

makingrobot.tistory.com

 

 

13. 서비스 시나리오 테스트 동영상

 

- 로봇 출근 : 관제센터에서 출근 명령을 내리면 스스로 충전소를 나와 안내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유튜브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ixkEUi-2jBk

 

 

- 지하 쇼핑몰 자율주행, 안내 서비스 수행

유튜브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UNAJ05jKdTk

 

 

- 충전소로 복귀 : 배터리가 부족한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충전소로 복귀하고 충전이 완료된 로봇이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유튜브 주서 : https://www.youtube.com/watch?v=7t0DD5KaOdg

 

 

 

 

 

728x90
728x90